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증권분석4

오늘날 가치투자와 대차대조표의 중요성 오늘날의 기업과 증권에 대한 분석이 훨씬 정교해졌다. 오늘날에는 빅데이터와 사용하기 쉬운 시스템이 다 갖춰져 있기 때문에 전 세대에 비해 훨씬 정교한 분석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분석가들은 기업과 더불어 비즈니스 모델도 조사한다. 매출액, 이익률, 제품믹스, 기타 변수가 이익에 미치는 영향을 세심하게 연구한다. 그레이엄은 이익과 배당금을 기업의 건전성 척도로 보았지만 오늘날 가치 투자자 대부분은 잉여현금흐름(영업이익-(자본적지출+운전자본 증가액))을 분석한다. 요즘의 가치 투자자들은 현금흐름 분석이 기업을 평가하는 가장 신뢰도 높고 정확한 수단이라고 본다.(기업들이 현금흐름을 왜곡하기 때문이다) 오랫동안 인플레이션이 이어진 탓에, 역사적 원가로 표시된 자산의 정확성이 떨어졌다. (PBR의 가치가 떨어짐).. 2016. 5. 10.
기관 투자가 원래 1900년대 초기에는 개인 투자자들이 주식시장을 지배했다. 반면에 오늘날에는 보험, 투신, 은행, 연기금, 사모펀드 등 기관들이 주로 시장을 주도 하고 있다. 그리고 이들이 추구하는 것은 가치투자가 아니다. 코스피가 항상 박스권에 갇혀 있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코스피가 2천을 넘어가면 기관들이 매도 포지션을 가져갈 때가 많아 코스피가 더욱 더 박스권에 갇히는데 일조하고 있다. 기관 투자가들의 행태는 단기 실적 경쟁으로 변질 하였는데 사실상 기관 투자가들이 장기 투자를 하였을 때 실적이 저조하다면 고객들이 자금을 인출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현실적으로도 장기 투자를 하는 것은 쉽지가 않다. 하지만 이런 펀드들은 저평가 증권을 사려고 보유 중인 저평가 증권을 팔면서 가치 투자자들에게 기회를 만들어 .. 2016. 5. 9.
가치투자의 바이블 벤저민 그레이엄과 데이비드 도드의 '증권 분석' 오늘날의 가치투자는 그레이엄과 도드 시대와 마찬가지로 실제가치보다 훨씬 낮은 가격에 증권을 사는 방식이다.이렇게 실제가치보다 싼 주식을 '염가 주식'이라고 하며 이것을 찾아내는 것은 기계적으로 찾아내는 것이 아니라 기본적 분석, 장기 투자, 위험 축소, 군중심리 억제를 강조하는 종합투자철학이다.주식시장에는 단기 수익에 몰두하는 사람이 너무 많다. 그렇기에 시장이 매우 비효율적이게 되고 가격과 가치가 크게 벌어질수 있고 이것은 가치투자자에게 기회를 만들어 준다. 가치투자자들은 증권이 투기 수단이 아니라 기업의 소유권의 일부라고 간주하기 때문에 가치 투자자들은 장기 실적에 계속 집중할 수 있다.가치투자자는 아무나 될수있을까?가치투자자는 인내, 절제력, 위험 회피능력을 가지고 있어야 하는 유전적인 성향도 분명.. 2016. 5. 2.
벤저민 그레이엄의 증권분석(제 6판) 안녕하세요. 벤저민 그레이엄의 증권분석에 대해 포스팅 해보겠습니다.벤저민 그레이엄의 증권분석 국내도서저자 : 벤저민 그레이엄(Benjamin Graham),데이비드 도드(David L. Dodd) / 이건역출판 : 리딩리더 2012.05.31상세보기사실 벤저민 그레이엄의 증권분석 에 대해 학습, 분석하여 이 카테고리에 포스팅 하려 했으나.. 너무 분량이 많고 내용도 많아서 아직 첫번째로 읽고있는데 3개월이 넘었는데도 아직 다 못읽은듯 합니다.(거의다 읽어가긴 합니다만..) 여러번 읽다 보면 점점 읽는 속도가 빨라지겠죠?다 읽지는 못했지만 읽은 부분에 대해서 얘기해보겠습니다.우선 책을 펼치면 워렌 버핏의 추천사가 있습니다. 책을 쓴적이 없는 워렌버핏의 추천사가 있다는것 부터가 벌써 기대가 됩니다. 워렌 버.. 2016. 4.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