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철학과 투자 마인드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투자철학과 마인드에 대해서 얘기해보겠습니다.
먼저 투자철학과 마인드에 대해서 얘기하기 전에 벤자민 그레이엄의 '현명한 투자자'의 일부분을 발췌 해보겠습니다.
"현명한 투자자는 시장 변동을 환영해야 한다. 가격과 가치의 괴리를 이용해서 이득을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주가가 낮은 시점에 매수하고 높은 시점에 매도하려는 시점선택을 함부로 시도해서는 안된다. 시장 변동에 대응하고자 한다면 저 PBR 종목 등 주가보다 내재가치가 높은 종목에 투자하는 방법이 있다." |
제 포스팅에 마인드에 대한 얘기를 자주 하는것 같은데, 가치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생각되기 때문입니다.
똑같은 종목에 투자하더라도 그 결과는 다 다릅니다. 사람들의 투자철학에 따라 매수, 매도 시점이 크게 달라집니다.
주식은 시장 흐름에 따라 가격변동이 심하며 이런 가격변동이 사람들의 투기 욕구를 자극합니다.
투기와 투자를 구분하여 투기를 자제 해야하지만 돈이 걸려있기 때문이 실제로 자제하는건 쉽지가 않습니다.
이럴때일수록 투자자는 투자철학을 명확히 가지고 있어야 하며 마인드를 바로 잡기 위해 투기를 하면 십중팔구
손실을 본다는점을 인식하고 있어야합니다. 그리고 투기를 하게 된다면 투자용 계좌와 투기를 할수있는 계좌를
구분하여야 무분별한 투기를 하지 않는데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투기란 무엇일까요? 증권분석에는 투기와 투자의 정의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합니다.
"투자란 철저한 분석을 통해 원금을 안전하게 지키면서도 만족스러운 수익을 확보하는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투기다." |
일반인이 철저한 분석을 하기는 어렵다는것을 저도 알고있고 마찬가지로 저도 제대로 지키지 못하고 있습니다.
(철저하다는게 명확하지가 않죠)
하지만 가치투자자로서의 명확한 투자철학을 확립하고 지키기 위해 노력합니다.
몇 가지만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1. 테마주는 매수하지 않는다.
2. 분할 매수, 분할 매도한다.
3. 목적에 따라 계좌를 분리한다.
4. 배당이 없는 주식은 매수 하지 않는다.
5. 부채가 많은 기업의 주식은 매수하지 않는다.
6. Pbr이 높은 기업은 매수하지 않는다.
이런 식으로 본인만의 투자철학을 세워놓고 '반드시' 본인만의 투자철학을 지키는 것이 현명한 투자자가 되는
첫걸음이 아닐까 싶습니다. 본인의 투자철학을 하나씩 만들어가면서 잘 지켜나간다면 꼭
좋은 결과가 있을것이라고 믿습니다.